정신분석의 발전 과정 (프로이드 학자) - 정신분석 1편 -
- 심리/심리 이론
- 2020. 7. 30. 22:08
정신분석의 발전과정은 크게 4가지 발전과정으로 나누어 볼수 있어요.
① 신경증의 주된 원인을 심리적 외상으로 생각했던 시기(1886~96).30세
② 의식.전의식.무의식의 지정학적 이론을 추동중심으로 발전시키던 시기(1896~1923).40세
③ 원초아.자아.초자아를 중심으로 한 성격구조이론을 자아이론으로 발전시킨 시기(1923~39).67세
④ 프로이드사후 정신분석이 발전한 시기(1939~현재)
제1기 :심리적 외상론의 시기(1886-1896)
-브루너(신경과의사)를 통해 히스테리 증세에 관심을 갖게됨.
-차켓교수 로부터 최면치료 연수기회-히스테리가 심리적 원인(특히 성과 관련된 충격적 사건)에 의해 발생 될수 있다는 것과 무의식이 존재 한다는 것에 대한 확신을 갖게됨
-30세 결혼,신경과 의사 개업-특히 신체적 마비증세의 히스테리 환자에 깊은 관심.
* 히스테리 연구-카타르시스 방법을 통해 치료
*신경증의 심리적 외상론-심리적 외상이 히스테리를 비롯한 신경증의 주요한 원인이다
특히 성적인 내용의 충격적인 사건에 대한 기억과 감정이 무의식적 과정을 통해 증상 유발.
망각된 기억을 회상하고 관련된 감정을 배출함으로 증세가 호전 될수 있다
제2기: 추동심리학의 시기(1896~1923)-인간의 추동을 중심으로 한 무의식세계에 관심
① 정신분석 -최면에 안걸리는 환자속출과 효과가 미비한 것에 실망하여
만40세에 (1896년) 자유연상법 (장의자에 누워 자유롭게 생각을 말하는 것)을 통해
환자의 무의식을 탐색하여 치료 시작.
② 자기분석기 (1895~1899)-1895.7월-이르마의 주사라고 하는 자신의 꿈을 해석하면서
자기분석 시작(39세)
-겉으론 성공한 신경과 의사.행복한 가장.내면적 으로는 우울과 공포.격렬한 분노경험,
여행에 대한 두려움. 길 건너는것도 공포. 위장장애. 심장장애 .
절친 내과의사 플리스를 과도히 의존
- 1896 부친 사망후 심한 죄책감과 신경증 증세로 고통.이를 계기로 자기분석 시작.
-오디푸스 콤플렉스와 유아기 성욕설등 정신분석 이론의 골격 발전 토대.
③ 정신분석의 진정한 시작-불면증 환자를 치료하면서 본인이 어린시절 아버지로부터 성적 유혹을 받았다고 하는 것이 공상에 의함을 알고 부모로 부터 유혹 받기 기대하는 공상이 실제사실
인 것처럼 기억된다 는 것을 깨닫게 됨. 즉 환자의 무의식적인 심리적 역동에 관심을 갖게 됨
④ 추동심리학- 추동(인간의 내면적 충동)에 대한 내면적 공상과 심리적 과정을 이해하는 것.
⑤ 꿈의 해석 발표.1900년-(내면세계를 구분하는 지형학적 모델제시)
*무의식- 원시적이고 비합리적인 일차과정에 의해 작동하며 쾌락 원리를 따름.
* 전의식과 의식-외부세계를 고려하여 합리적이고 논리적으로 기능하는 이차과정과 현실원리를 따른다는 것
-1905년 유아기 성욕설을 제시
-정신분석학회 결성.- 아들러와 융이 중심인물
-1910년 국제정신분석학회가 결성
⑥ 40세에서 67세 이르는 기간-23권 전집중 15권 저술하고 심리성적 발달단계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등 중요 개념과 이론등 왕성한 활동한 기간
⑦ 인간의 무의식속에 어떤 추동이 있으며 인간은 성장 과정에서 추동과 어떻게 대응하고 그 과정에서 어떤 심리적 갈등이 발생하며 갈등이 신경증적 증상과 어떻게 관련되고 증상을 치료하기위해 어떤 치료기법이 효과적 인가를 탐색했던 시기
제3기: 자아심리학의 시기(1923-1939)
*인간이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내면적 추동과 외부적 현실을 조정하는 자아의 기능으로 프로이드의 관심이 옮겨간 시기.
*1923년 자아와 원초아를 통해 지형학적 모델을 성격의 삼원 구조이론 수정
- 원초아(id) : 성적인 본능적 충동
- 자아(ego)는 : 원초아와 현실의 요구를 조정하는 심리적 기능
- 초자아(superego) : 어린시절 부모와의 관계를 통해서 내면화된 도덕관념과 이상적 자아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시
-1926년 억압.증상과 불안: 불안을 위험신호에 대한 자아의 적극적인 반응
자아는 불안감소를 위해서 방어기재를 사용할분 아니라 현실적 적응을 위한 여러기능을 담당 한다고 봄.
-프로이드 막내딸 안나 프로이드-자아와 방어기재 제시.자아 심리학에 크게 기여.
-프로이드의 일상-평균20개비 시가(애연가)
* 1923년,턱에 암,그후16년동안 33회 턱 수술 에도 연구 계속
* 히틀러가 박해-저서 불태우고 런던으로 피신.
* 1939년 82세 병세 악화로 안락사
제4기 프로이드 사후 정신분석의 발전 (1939년-현재)
두 갈래로 발전.
① 정신분석의 기본적인 주장고수-자아심리학,대상관계이론,자기심리학,관계적정신분석
② 무의식을 인정하되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을 비판하고 독자적인 이론적 체계로 발전
-융의 분석심리,아들러의 개인심리학,신프로이드학파등 (sulivan,horney,fromm)
'심리 > 심리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아심리학, 대상관계이론, 자기심리학 - 정신분석 이후 발전 이론(프로이드 사후 이론) - 정신분석 5편 - (0) | 2020.08.06 |
---|---|
정신장애 원인 및 정신분석 치료 방법 - 정신분석 4편 - (0) | 2020.08.05 |
정신분석 성적 발달단계, 성격 삼원구조 이론, 방어기제 - 정신분석 3편 - (2) | 2020.08.04 |
정신분석 이론의 개념과 프로이드의 생애 - 정신분석 2편 - (0) | 2020.08.01 |
앨리스 (Albert Ellis)의 성장 과정 - 합리적 정서행동치료(REBT) -심리학자편 - (4) | 2020.06.23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