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 대학원/가족관계론 내면의심리 2021. 3. 18. 15:26
1) 가족경계 : 가족 내의 개인과 다른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에서 형성된 개인의 정체성이면서 동시에 한단위로 가족과 더 큰 사회체계 간의 관계에서 형성된 가족의 정체성 ① 개방체계 : 경계가 가족 구성원간의 통합이나 전체성을 잃지 않는 범위내에서 외부체계와의 상호작용을 허용 ② 폐쇄체계 : 환경과의 상호작용이 없고 자신의 경계내에서 활동 * 경계가 필요한 이유 : 체계가 복잡해질수록 가족과 외부체계와의 경계를 규정짓는 규칙을 고려해야 하므로 경계가 필요하다. * 경계(체계와 체계를 구분해 주는 것)의 성격에 따라, 명확한 경계(의견과 사생활 존중) / 혼돈된 경계(지나친 영향) / 경직된 경계(거리감,소외감)으로 본다 2) 가족 하위체계 : 가족의 기능을 수행 * 대표적 하위체계 : 부부 하위체계 / ..
심리 대학원/가족관계론 내면의심리 2021. 3. 17. 15:21
1. 가족치료의 정의 - 가족치료란? : 가족에서 제기된 문제를 가족관계에 개입하여 해결하는 상담방법 - 가족치료 방법(치료접근 방법) : 가족을 단위로 체계속의 상호작용에 개입하여, 개인의 문제행동과 전체가족의 역동의 변화를 가져오는 치료적 접근. : 치료와 변화의 단위가 가족이고, 가족체계의 상호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한 치료방법 제시 ▶ 문제의 원인이 개인의 문제로 보지않고,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가족체계 안팎의 상호작용을 이해함으로써 문제 해결 (해결할 문제에 포커스를 두지 않고 하위체계 간의 행동패턴 관심) ※ 예시) 형으로부터 무시받는 둘째 장애인 동생의 분노와 공격적 성향 - 가족치료의 궁극적인 목적 : 가족체계 내의 상호작용 개선 2. 체계론적 관점 : 사건들이 일어난 맥락 내에서 이해되며, ..